창원시가 서성동 성매매 집결지를 폐쇄하고 근린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지 2년이 되어간다. 시는 통합 이후 서성동 성매매 집결지 폐쇄를 추진해 왔지만 2019년에야 폐쇄를 결정했고, 2020년에 근린공원 조성을 위한 집결지 폐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그해에 시는 집결지 내 불법건축물 전수조사도 완료했고 시의회는 성매매 피해자 자립을 지원하는 조례도 만듦으로써 모처럼 숙원이 풀릴 수 있다는 기대를 모았다. 창원시 계획대로라면 지금은 보상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거나 2024년까지로 예정된 공원 준공을 준비하고 있을 때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실상 한 걸음의 진척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집결지 폐쇄는커녕 지금도 서성동 일대는 버젓이 성매매가 성행하고 있다.

서성동 집결지 일대에 CCTV가 설치돼 있음에도 창원시와 경찰 단속 실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초 시는 CCTV 설치가 집결지를 폐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장담했지만 성구매자가 현장에서 검거되지 않는 한 처벌이 어렵다는 사정은 감안하지 않았다. 또 시는 업주들의 조직적인 저항이나 피해자들을 방패막이로 삼은 반발을 우려하여 폐쇄 집행을 과감히 밀어붙이지 못하고 있다.

자체와 경찰이 성매매 근절에 강력한 의지가 있지 않으면 폐쇄는 불가능하다.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경찰과 민간의 삼자 협력체를 가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창원시는 이미 민관경 협력체제를 갖추고 있는 만큼 창원시의 일관되고 확고한 행정 능력, 공권력의 강력한 법집행, 민간단체의 정책적 지원이 유기적으로 맞물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피해자들의 자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성매매 피해자들의 지원이나 자활 현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집결지 단속과 폐쇄는 탈성매매의 시작일 뿐 종결이 아니다. 피해자들이 성매매 산업에서 구출되더라도 자활을 위한 뒷받침이 견고하지 않다면 다시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차단하기 힘들다. 비단 집결지 형태 성산업뿐 아니라 다른 경로 성산업으로 유입하는 길이 확산하고 있다. 창원시가 성매매 피해자에 대한 이해가 높은 여성단체의 협력을 구하는 것이 탈성매매 이후 대책을 마련하는 데 요긴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